Name of Korean painting14 [스크랩] 인물 산수화/정선 . 강산청원(江山淸遠) 강정만조(江亭晩眺) 강진고사(江津孤舍) 건려방매(騫驢訪梅) 고사관폭(高士觀瀑) 고산상매(孤山賞梅) 관폭도(觀瀑圖) 기려심매(騎驢尋梅) 노백도(老栢圖) 노송대설(老松戴雪) 독서여가(讀書餘暇) 동정추월(洞庭秋月) 무송관산(撫松觀山) 문암(問岩) 빙천부신(氷遷負薪) 사문탈사(.. 2010. 12. 5. (落款)낙관과 (畵題)화제 落款낙관과 畵題화제 落款낙관은 自己자기의 作品작품에 作家작가 스스로가 自己자기의 이름이나 雅號아호 및 日字일자를 쓰고 印章인장을 찍어 自己자기 作品작품임을 證明증명하는 署名서명으로 書畵面서화면에 낙관을 할 자리기 있어야 한다. 萬一만일 落款낙관할 자리를 잃게 되면 不完全불완.. 2010. 10. 30. 한국화의 명칭 ㅎ. 하엽준법(荷葉) 연잎 줄기와 같이 생긴 준으로 산봉우리에 주로 사용된다. 물이 흘러내려 고랑이 생긴 산비탈 같은 효과를 내며 조맹부가 창안한 후 남종화가들이 종종 사용하였다. 한림(寒林) 잎이 떨어져 버린 앙상하게 헐벗은 가지만 있는 차갑고 삭막한 나무숲을 말하며 이를 소재로 .. 2010. 10. 23. 한국화의 명칭 ㅍ. 태서법(泰西法) 요철법과 같다. 편파구도(偏頗構圖) 그림을 종(縱)으로 2분할 때 한쪽 반이 다른 쪽 반보다 더 강조되고 더 큰 무게가 주어진,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구도를 말한다. 조선 초기 안견파(眼見派) 작품에서 흔히 발견된다. 평원(平遠) 삼원중의 하나로서 근산(近山)들로부터 원산(遠山)들을 .. 2010. 10. 23. 한국화의 명칭 ㅊ. 찰염(擦染) 먹이나 색채를 축축히 문지르듯 칠하는 것으로 서서히 물이 스며들 듯 변하는 효과를 낸다. 철선묘(鐵線描) 굵고 가는 데가 없이 두께가 처음부터 끝까지 똑같은 꼿꼿하고 곧은 필선으로, 매우 딱딱하고 예리하여 철사와 같은 느낌을 자아낸다. 붓을 세워 강하게 베풀고 선이 길며 인물화에.. 2010. 10. 23. 한국화의 명칭 ㅈ. 저묵산수 천강산수(淺絳山水)라고도 한다. 면저 수묵(水墨)으로 그림의 기초를 그리고, 여기에 엷게 색을 칠하여 주는 일종의 담채법 (淡彩法)을 말하며, 원대의 황공망 이 창안하였다. 전신(傳神) 전신사조(傳神寫照)가 줄어서 된 말로 초상화에 있어서 인물의 외형묘사에만 그치지 않고 그 인물의 고.. 2010. 10. 23. 한국화의 명칭 ㅇ. 안견파 15세기 중엽에 이르면 안견은 조선시대 최고의 산수화가로 곽희파화풍을 토대로 마하파 화풍 등 다양한 화풍을 종합하여 독자적인 [안견파화풍]을 이루었다. 이 화풍(양팽손, 정세광, 신사임당, 이정근, 이징 등)은 조선초기는 물론 조선 중기에까지 이어졌고 일본에 건너가 주문파(周文派)에 .. 2010. 10. 23. 한국화의 명칭 ㅅ. 사계화(四季花) 작약, 철쭉, 한국(寒菊), 동백. 사녀도(仕女圖) 궁중에서 생활하는 여인들을 주제로 한 그림. 이런 그림은 한 대(漢代)에서 시작되었으며, 수, 당대에 이르면 그 성행이 눈에 띈다. 그 대부분이 오대남당(五代南唐)의 주문구의 필법을 따른 예가 많았다. 명, 청대에 이르러서는 상류계급의.. 2010. 10. 23. 한국화의 명칭 ㅂ. 반차도(班次圖) 정부 의식에 문무백관이 늘어서는 차례를 기록한 도표 혹은 그림. 방인(方印) 4각형 인장(印章) 을 말한다. 백묘인물화(白描人物畵) 색채나 음영을 가리지 않고 철저하게 윤곽선만으로 이루어진 인물화를 말하며 북송의 이공린에 의해 전통이 확립되었다. 백묘화(白描畵) 색채나 명암이.. 2010. 10. 23. 한국화의 명칭 ㅁ. 마아준(馬牙) 남송의 화가 조백구가 창안한 것으로 그 생김새가 말 이빨과 비슷하여 붙인 이름이다. 마피준법(麻皮) 마(馬)의 올이 얽힌 것 같은 준으로 다소 거친 느낌을 준다. 피마준법(披麻)과 비슷하며 남당(南唐)의 동원(董源)이 많이 사용했다. 마하파(馬夏派) 남송(南宋)의 화원에서 활약했던 마.. 2010. 10. 23. 한국화의 명칭 ㄷ. 다자도(多子圖) 길상도(吉祥圖)의 한 화제로 아들이 많고, 또한 이들이 건강하고 총명하게 자라 집안을 크게 빛낼 수 있도록 기원하는 그림을 말한다. 보통 세 가지 종류로 나누어 말할 수 있다. 1.씨가 많은 석류를 그린다. 2. 백명의 사내아이들이 즐겁게 노는 광경을 그린 백자도(百子圖). 3. 아들, 손.. 2010. 10. 23. 한국화의 명칭 ㄴ. 나한도(羅漢圖) 나한은 소승불교(小乘佛敎)에서 최상급의 수행자이자, 공덕을 구비한 학자인 아라한의 약칭. 그 상(像)은 이미 육조(六朝)때부터 그림으로 그려지기 시작하였고, 당대에는 현장의 법주기(法住記) 역편(譯編)에 따른 십육나한(十六羅漢)의 신앙과 그림이 나타났다. 그 후 다시 십팔나한, .. 2010. 10. 23. 조선(한국)회화의 대표작가 ※ 윤두서 윤두서(1668-1715)는 우리 회화사상 조선 중기와 후기를 잇는 중요한 화가이다. 본관은 해남(海南)이며, 자는 효언(孝彦), 호는 공재(恭齋)로, 〈어부사시사〉로 유명한 고산 윤선도의 증손이자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외증조이다. 1693년 스물다섯 살에 진사가 되었으나 당쟁으로 세상이 .. 2010. 10. 23. 한국화의 명칭 ㄱ. 한국화 한국인의 손으로 그려진 회화를 총칭하는 의미로 확대 해석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한국의 전통적 기법과 양식에 의해 다루어진 회화를 말한다. 종래까지 서양화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통용되던 동양화라는 명칭을 일제(日帝)에 의해 타율적으로 조성된 용어로 비판, 이를 주체적 입장에서 .. 2010. 10.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