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ame of Korean painting

한국화의 명칭 ㅂ.

by do wha in 2010. 10. 23.

반차도(班次圖)
정부 의식에 문무백관이 늘어서는 차례를 기록한 도표 혹은 그림.


방인(方印)
4각형 인장(印章) 을 말한다.


백묘인물화(白描人物畵)
색채나 음영을 가리지 않고 철저하게 윤곽선만으로

이루어진 인물화를 말하며 북송의 이공린에 의해 전통이 확립되었다.


백묘화(白描畵)
색채나 명암이 없이 윤곽선만 그린 그림.
백화(白 )라고도 한다.
백문(白文)
음문(陰文)과 동일하다.


번두준

산봉우리를 그릴 때 평평하게 하여서, 여럿이 노닐 수 있게 한 공간을 말한다.


법첩(法帖)

체법(體法)이 될만한 명필의 서첩(書帖).


변장(邊章)

서명의 옆이나, 그림의 하단부 양쪽 구석을 제외한 부분에 찍힌 도장.


보상화문(寶相華文)
고대 오리엔트와 그리이스의 장식요소인 부채꼴 형식의 팔메트잎을 변화시켜

이룩된 화려하고 복잡한 양상을 띤 꽃모양의 문양으로

수(隋) 당(唐)시대에 불교 미술에서 자주 묘사되었다.


부벽준
바위의 표면 처리에 많이 쓰이는 법으로, 붓을 옆으로 비스듬히 뉘어

재빨리 들면서 끌어당겨 마치 도끼로 찍었을 때의 자국 같은 모습이다.
바위의 모난 모양을 표현하고자 할 때 많이 쓰며,

남송원체(南宋院體) 화가들이나 명대의 절파(浙派) 화가들에 의해 많이 사용되었다.
자국의 크기에 따라 대부벽준과 소부벽준이 있다.


북종화(北宗畵)
화원(畵員)이나 직업적인 화가들이 그린 그림으로, 진한 채색(彩色)과

꼼꼼한 묘사로 마치 사진처럼 외형 묘사에 주력하여 그린 장식적인 그림을 말한다.
선비 화가들이 주로 그렸던 남종화(南宗畵)와 대(對)가 되는 표현이다.
명대(明代)의 동기창(董其昌)과 막시룡(莫是龍)은 산수화의 화풍을

남종화와 북종화의 둘로 나누었는데, 북종화를 당나라 때의 이사훈(李思訓)과

이소도(李昭道) 부자에서 시작되어 송대(宋代)의 이당(李唐), 유송년(劉松年),

조백구(趙伯駒), 마원(馬遠), 하규(夏奎), 명대의 대진(戴進), 오위(吳偉),

장로(張路) 등으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이 용어가 나오게 된 동기창의 분류 기준으로는 신분의 고하가

분류의 기준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나, 우리 나라에 유입되어서는 신분상의

구분이기보다는 이들 화가들의 화풍을 본뜬 화풍상의 개념으로 받아들인 듯하다.


분본(粉本)
초고(草稿), 화고(畵稿) 혹은 밑그림이라 말한다.
옛날의 화고가 호분(胡粉)으로 이루어졌으므로 붙여진 명칭이다.


비백(飛白)
서, 화를 그릴 때 붓의 먹물이 건조해서 붓자국에 흰 공간이 들어간 모양.

'Name of Korean pain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화의 명칭 ㅇ.  (0) 2010.10.23
한국화의 명칭 ㅅ.  (0) 2010.10.23
한국화의 명칭 ㅁ.  (0) 2010.10.23
한국화의 명칭 ㄷ.  (0) 2010.10.23
한국화의 명칭 ㄴ.  (0) 2010.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