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크(Baroque)
어원은 포르투칼어로 '이그러진 진주'인데
약 1600년에서 1750년까지의 미술양식을 말한다.
18세기 후반 전 시대의 장식이 지나친 건축,
조각에 대해 멸시의 뜻으로 쓰여졌고 현재에는
르네상스에 대립하는 전 유럽적인 미술 양식명으로서 쓰이게 되었다.
특히 루벤스, 렘브란트를 낳은 플랑드르 및 네덜란드는
바로크 미술의 한 중심지로 생각되고 있다.
그 특징은 동적, 격정적이며 복잡한 구도와 곡선을 많이 사용, 화려한 색채를 주로 썼다.
그리고 프랑스의 같은 새대에는 '루이 14세 양식'이 성행하여 고전적인
양식에 의한 화려한 장식 앙상블이 나타나고 있다.
바우하우스 (Bauhaus)
1919년 발터 그로피우스에 의해 바이마르에 세워졌던 건축 공예 디자인 학교.
1926년 데싸우로, 1932년 베를린으로 이사했으나,1933년 나치에 의해 패쇄 되었다.
숙련된 기술의 디자인을 근대 산업 기술과 조화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1933년 구성요원들이 각지로 흩어져 유럽과 미국에 광범위한 영향을 끼쳤다.
바이오모픽 아트(biomorphic art)
추상미술의 한 형식으로 주로 1940년대의 장아르프, 호만미로, 아실고키,
월리엄 배지오티스, 데오도로스 스테모스, 드쿠닝 등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살아있는 유기체에서 그 포름을 구하고자 했던 경향을 말한다.
구성주의와 같은 추상 운동이 그 추상적 포름을 주로 기하학적인 기반에서 찾으려고 했던데 비해
쉬르리어리즘의 영향을 받았던 바이오모픽 아트는 인간이나 생명을 가진 유기체,
혹은 그와 연관이 된 신화 등에서 구하고자 했다.
반 예술 (Anti-art)
일전통적인 '예술'의 틀을 넘는 것.
일본에서는 1960년의 요미우리 앙데팡당展에
출품되었던 정크 아트등에 대하여 東野芳明가 이말을 사용했다.
배색(color combination)
색의 배합.
배색의 기본형을 색의 3속성의 계통에 따라 생각해 보면
(1) 명도를 기조로 하는 것으로서 명도차가 작은 배색과 명도차가 큰 배색.
(2) 색상을 기조로 하는 것으로서 색상차가 작은 배색과 색상차가 큰 배색.
(3) 채도를 기조로 하는 것으로서 채도차가 작은 배색과 색상차가 큰 배색.
보색(complementary color)
두 가지의 색을 혼합하여 무채색이 되었을 때 그 두 색은 서로 보색 관계에 있다고 한다.
색환에서 마주 보는 두 색이 보색이 되도록 배치한 것을 보색 색환이라고 한다.
볼륨(volume)
양감.
대상의 크기, 물체의 두께 등을 말한다.
디자인에서는 질감과 더불어 양감의 표현은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며, 실제감,
입체감을 구성하는 것이다.
부조(relif)
조소기법.
리리프란 첸니니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된 릴리에보(relievo)에서 유래됐음.
평면상에 형상을 가득하게 부출시키는 기법인데,
그 정도에 따라 고부조와 저부조, 반부조로 구별된다.
이들은 모두 양각인데, 때로는 특수한 것으로서 고대 이집트 조소에 있는
음각(움푹 들어가게 조각하는 것)이 있다.
이들 부조는 환조에서 회화로, 혹은 그와 대조되는
중간 양태이므로 부출된 부분은 환조 조각에 가까운 것이 되며,
평면부분은 건물의 배경이나 풍경을 나타내는 수도 있고,
부출된 부분에 대해 바탕 역할밖에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회화에 있어 부조적 효과란 그려진 모양의
윤곽이 명확해서 배경으로부터 떠오른 듯이 표현된 경우를 뜻한다.
분리파 (Secession)
오스트리아와 독일의 일단의 미술가들이 관학파적 미술원으로부터 이탈하여 `
근대 운동`을 시작하기 위해 결성한 전시(展示)동인.
분할주의 (Divisionism, Neo-Impressionism)
팔레트 위에 색을 섞지 않고 순색을 점처럼 작은 조각으로 만들어 캔버스 위에 찍어 그리는 회화기법.
이들은 서로 조화를 이루어 시각적으로 아주 풍성하고 미묘한 효과를 낸다.
쇠라가 이 분야의 대표적인 작가이다.
불협화(discord)
둘 이상의 색이 함께 놓여 있을 때, 서로 조화가 맞지 않는 경우를 뜻한다.
브론즈(bronze)
청동.
동과 주석과의 합금으로 갈동이라고도 불린다.
청동은 전연성이 풍부하고 단단하며 마모에도 잘 견뎌
옛날부터 화폐나 조상 등의 재료로 사용되었다.
청동의 경우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역사가 오래 되었다.
서양에서는 그리스가 뛰어난 조상을 만들었고 곧 이탈리아로 이어졌으나
도나텔로 이전까지는 우수한 기술로 만들어진 브론즈는 드물다.
현대에도 브론즈는 조각의 가장 보편적인 소재로서 널리 사용된다.
비디오 아트 (Video Art)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된 움직임들을 모니터에 비쳐 그것을 예술 작품으로 하는 것.
모니터 자체를 조명수단으로도 하는 오브제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비엔나 분리파 (Vienna Secession)
1898년 구스타프 클림트가 이끈 분리파.
비즈니스 그래픽(business graphics)
컴퓨터 그래픽의 용어로서 사무 자동화의 일부 기업이 회사의 PR이나
신제품의 표현에 사용하는 슬라이드로 포함되며, 특히 시장예측,
경제전망 등에 있어서 컴퓨터를 사용하여 그 변동 등을 종합,분석,
예측하는 3차원적 그래픽 처리 방법이다.
기업에 쓰이는 모든 정보를 도형적으로 처리하여,
수치에 의한 정보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게 되므로 매우 편리한 방법이다.
'name of western pain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화의 명칭 ㅇ. (0) | 2010.10.23 |
---|---|
서양화의 명칭 ㅅ. (0) | 2010.10.23 |
서양화의 명칭 ㅁ. (0) | 2010.10.23 |
서양화의 명칭 ㄹ. (0) | 2010.10.23 |
서양화의 명칭 ㄷ. (0) | 2010.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