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누보 (Art Nouveau)
"새로운 미술"이라는 의미의 프랑스어로,
심미주의적이고 장식적인 경향의 미술 운동을 가리킨다.
1890연대 각각의 재료가 갖고 있는 가능성과 디자인을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감각의 "신미술" 을 뜻한다.
서구 미술 미술의 전통으로부터 의도적으로 이탈하려한
아르누보의 성공은 틀에 박힌 양식 교육에 싫증을 느낀 건축가들과
디자이너들에게 동요가 일기 시작하면서 시작되어 새로운 미술운동을 전개하였다.
장식적인 양식으로, 책의 삽화, 실내 장식과 건축 분야에서
1890년대와 1900년대 유럽에 풍미했던 양식. 길고 구불구불한 곡선과
덩굴처럼 기어오르는 식물의 형태를 지니며.본격적으로 장식적인 성격을 띤다.
아르 데코 (Art Deco)
장식 미술을 의미하는 명칭으로, 1925년 파리의 현대 장식 . 산업 미술 .
국제 박람회의 약칭에서 유래되었다.
직선, 입체, 기하학적 문양을 세라믹, 패브릭,
가구 등에 적용하였으며, 이들은 대량 생산 되었다.
아르테 포베라 (Arte Pobera)
소재에 가능한 한 손질을 가하지 않고 배치하는 방법이나 주위공간 등을
통해 현실 세계에 대한 작가의 태로를 표명하려고 한 것.
이탈리아어로 '빈곤한 예술'을 뜻한다.
아방 가르드 (Avant-Garde)
전위, 선두라는 뜻으로, 인습적인 권위와 전통에 대항하는
새 시대의 급진적인 예술 경향을 가리킬 때 쓰인다.
아상블라주 (Assemblage)
목판등 그것만으로서는 도움이 되지 않는 소재들을 잡다하게 모아서 작품으로 하는 것.
1950년대 이말이 사용되기 시작하여 그 이후의 입체적 작품에 큰 영향을 주었다.
아트 브뤼 (Art Brut)
정신병원의 환자등 예술과 관계 없는 사람들이 자기
자신만을 위해 만든 것으로 인간 삶의 기반이 표현된다.
장 뒤비페 (Jean Duffet)가 1940년대 제창했다.
앙포르멜 (Informel)
1940 년대 후반 이후 프랑스를 중심으로 유럽에서 성행했던 추상회화의 운동으로,
회화도 '물건'이라는 것을 나타냈다. 또한 화가의 제작 행위도 중시했다.
액션 페인팅 (Action Painting)
물감을 캔버스 위에 던지고 쏟아 붓고 떨어뜨리는 등의
행동을 통해 그림을 그리는방법.
완성된 작품으로서뿐만 아니라 화가의 제작행위
과정을 기록한 것으로도 제출되는 회화. 추상표현주의의 동적인 측면을 대표하고 있다.
야수파(Faucism, fauve)
어원은 거친 동물로, 1905-08년 마티스, 루오, 뒤피 등이 참여한 예술 운동.
강렬한 색채,형상의 변조와 단순 소박한 양식을 사용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어스 워크 (Earth Work)
대지미술 대지등의 자연환경을 예술작품을 위한 장(場)으로 생각하여 자연 환경
그 자체에 손질을 가해 예술 작품으로 한 것 .
1960연대 후반에 나타났다. 랜드아트(Land Art)라고도 한다.
에꼴(ecole, 불)
학문상의 학파, 예술상의 유파를 뜻한다.
미술사의 용어로는 고전파, 사실파, 인상파, 입체파 하는 식으로 쓰인다.
'에꼴 드 파리'의 경우는 엄밀한 의미로는 유파가 아니지만 제 1차 대전 전후를 통하여,
파리를 무대로 활약한 각국의 화가들을 총칭하여 일컫는 용어이다.
에로티시즘(Eroticism)
성애적 경향 내지 성질이나 호색적 기분을 말하며
그리스 신화의 사랑의 신인 Eros에서 나온 말이다.
플라톤에서 에로스는 진리를 인식하려는 충동,
생명력의 근원으로 생각되었다.
에로티시즘의 본질은 인간의 생의 근원에 관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하고,
그러기에 문학, 예술의 최고의 주제로 다루어졌다.
오늘날에는 포르노그라피(호색문학, 춘화)와 구별하기 어려운 성애 제일주의자도
에로티시즘이란 이름으로 유행되고 있는데, 이 둘은 구별되어야 한다.
에스프리(esprit, 불)
라틴어 spiritus(호흡, 숨)가 본 뜻이나, 프랑스어에서는 영어의 spirit와 같으며,
육체에 대한 정신의 의미이다.
문학, 예술에서는 오히려 정신의 작용, 특히 발랄하고 자유분방한 풍요로움을 가리키며,
프랑스 예술의 한 특색으로 일반에게 인정되고 있다.
에어브러시(air brush)
그림물감을 안개 상태로 만들어 뿜어내면서 농담을 그리는 기구이다.
만년필과 유사한 모양으로 축에 있는 공기 압축기로부터 공기를 내보내면
앞부분의 노즐을 통하여 뿜어 나오는데 이렇게 되면 축의 윗부분에 들어있는
물감이 딸려 나와 강하게 뿜어 나오게 된다.
필요없는 부분은 셀룰로이드, 종이 등을 잘라내어 붙여 둔다.
일러스트레이션, 데생, 사진 원고의 수정, 사진의 양화나 음화의 수정에 쓰인다.
오브제 (Object)
'물건'을 이용하여 다른 물건임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물건'그 자체가
예술 작품이라는 생각으로 제출되어진 '물건'을 말함.
쉬르리얼리즘이나 다다이즘에서 많이 애용되었다.
오토마티즘 (Automatisme-자동기법)
본래는 쉬르리얼리즘(초현실주의)의 용어, 전후 미국 작가들에 있어서는
드리핑 등의 기법에 의해 화가 내면의 정신 상태를 그대로
작품으로서 나타내는 것을 의미했다.
올 오버 (All over - 전면회화)
화면 전체를 균질한 필치로 덮음으로써 시각의 중심을 없애고
화면 내의 전체와 부분의 관계를 보이지 않게 한 회화, 플록의 드리핑 회화가 대표적이다
옵 아트 (Optical Art)
색면의 대비적인 배치나 파장 패턴을 반복함으로써, 보는 사람에게 시각적인
착각을 체험시키는 회화를 말함. 작가 자신의 주관적인 감정 표현은 완전히 배제된다.
원근화법 (Perpective)
이차원 즉 평면과 표면 위에 삼차원의 입체감을 표현하는 기법으로 멀리 있는
대상이 가까이 있는 대상보다 더 작게 나타난다는 관찰 결과에 기초를 두었다.
유겐트스틸 (Jugendstil)
아르누보의 독일어.
아르누보 참조
이벤트 (Event)
일상생활 속에서 우연히 일어나는 사건을 그대로 작품으로 하는 것.
퍼포먼스의 일종이나 행위적인 것을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예술개념에 의문을 제기한다.
인바이런먼트 (Environment Art-환경예술)
어떤 특정의 장소에 모인 사람들에 대해서 빛과 소리 그 밖의 자극을 주어
자기주위의 공간을 느끼게 하는 것. 1960 년대중엽에 활발하게 일어났다.
인상주의 (Impressionism)
`인상주의'라는 이름은 1874년 제1회 [인상파 전시회]에 출품된
모네의 [인상.해돋이](Impression: Soleil levant)라는 작품을
본 [샤리바리](Charivari)잡지의 기자 르르와(Leroy)가 `
본질'보다는 `인상'만을 그렸다는 조롱의 의미로 붙였다.
후에 인상주의 화가들은 이 이름이 적어도 자신들의 양식의 한
측면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받아들였다.
인상주의는 산업화되고 도시화되던 당시의 사회 속에서
태어났다고 할 수 있을 만큼 화가들은 향상된 물질 사회의 혜택을 받았다.
이들은 질이 좋은 튜브 물감과 종이를 사용할 수 있었고
간편한 미술 도구를 가지고 야외에서 그림을 그릴수도 있었다.
발달된 교통수단으로 다른 고장을 여행하고 다양한 풍경을
경험하며 변화해가는 풍광 속에서 감각적이고 단편적 인 시각들을 받아들이게 된다.
인상주의 화가들의 색채는 과거의 회화처럼 대상의 색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광선과 그림자, 반사된 광선, 또는 특정한
시간대에 화가들의 눈에 어떻게 비쳐지느냐에 좌우되는 것이고,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불확실한 것으로 여겼다.
그래서 색채는 정확하게 분석에 의하여 채색되기보다는 시각
경험에 의해 좌우되고 감각에 호소하게 되었다.
인스틸레이션 (Instullation)
설치미술 몇 개의 작품을 특정한 공간에 전시하는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전체로서 나타내는 것.
1970 년대이후 지금도 여전히 유행중이지만 표현으로서는 새롭지 않다.
자연주의[naturalism,自然主義]
프랑스를 주축으로 하여 19세기
사실주의(寫實主義)를 이어받아 세기말(世紀末)에 활발했던 문학사조.
'name of western pain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화의 명칭 ㅊ. (0) | 2010.10.23 |
---|---|
서양화의 명칭 ㅈ. (0) | 2010.10.23 |
서양화의 명칭 ㅅ. (0) | 2010.10.23 |
서양화의 명칭 ㅂ. (0) | 2010.10.23 |
서양화의 명칭 ㅁ. (0) | 2010.10.23 |